본문 바로가기
정치학

반식민지 민족주의 뜻과 특징

by zisic 2022. 6.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팽창적 민족주의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민족적 해방을 위한 투쟁과 관련되며, 사회발전을 위한 노력과 종종 융합되는 반식민지적 민족주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식민지 민족주의

개발도상국가는 다양한 형태의 민족주의를 낳았고, 이 다양한 형태의 민족주의는 어떤 점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항하는 투쟁으로부터 고무되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민족주의가 가졌던 예상치 못한 결과는 이것이 유럽 열강들 자체에 반대하는 유럽에서의 민족형성 과정을 통해 처음으로 발전된 교리와 원리를 유럽 열강에 대항하는 것으로 전환시켰다는 것입니다. 달리 표현하면, 식민지주의는 민족주의를 세계적 의미를 가지는 하나의 정치적 강령으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식민지주의는 민족해방이라는 욕구에 의해 공유된 민족의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20세기에 사실상 세계의 많은 곳에서 정치적 지리가 반식민지주의를 통해 변형되었습니다.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 사이에 일어났던 독립운동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새로운 자극을 얻었습니다.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장된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제국은 홍기하는 민족주의에 직면하여 붕괴하게 되었습니다.

 

식민지의 역사와 반식민지주의 형태

인도는 2차 세계대전 중에 독립을 약속받았고, 마침내 1947년에 승인받았습니다. 중국은 일본의 점에 대항하는 8년 동안의 전쟁을 치렀고, 1949년의 공산주의 혁명을 거친 후에 진정한 통일과 독립을 달성하였습니다. 인도네시아공화국은 네덜란드에 대항하여 3년 간의 전쟁을 치르고 난 후에 1949년에 공포되었습니다. 군사적 붕기로 인해 프랑스는 1954년에 베트남으로부터 물러날 것을 강요당했습니다. 하지만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의 통일, 다시 말해 베트남의 최종적 해방은 미국에 대항하여 14년에 걸친 전쟁을 치른 후인 1975년에 이루어졌습니다. 동남아시아에서 민족주의 투쟁은 가나의 크루마, 나이지리아의 아지키웨의 율리우스 니에르에레, 그리고 나살랜드와 같은 아프리카 지도자에게서 나타나는 해방운동과 비슷하게 고무되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의 탈식민지화의 속도는 1950년대 후반부터 가속화되었고, 나이지리아는 1960년에 대영제국으로부터 독립했습니다. 알제리는 프랑스와 오랜 싸움을 치른 후에 1962년에 독립했습니다. 케냐는 1963년에 독립하였고, 탄자니아와 말라위는 다음 해에 독립했습니다. 아프리카의 마지막 식민지로 남아있던 남서 아프리카는 1990년 나미비아가 되었습니다.

반식민지주의의 초기 형태는 주로 고전적인 유럽 민족주의에 의존하였고, 민족자치 이념에 의해 고무되었습니다. 하지만 아프리카와 아시아 민족은 19세기에 새롭게 탄생된 유럽 국가들과는 매우 다른 입장에 서 있었습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민족에 있어서 정치적 독립을 위한 노력은 불가피하게 사회발전을 위한 욕구와 산업화된 유럽 국가 및 미국에 대한 종속의 종식을 향한 욕구와 결합되었습니다. 따라서 민족해방의 목표는 경제적, 정치적 차원을 띱니다. 이것은 반식민지 운동이 전형적으로 민족주의적 희망을 표현하는 매개 수단으로써 자유주의에 의존하지 않고, 사회주의와 특히 막스-레닌주의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표면적으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는 상충되는 정치적 강령인 것처럼 보입니다. 사회주의자는 전통적으로 국제주의를 전파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사회주의자는 인간을 단일적 존재로 간주하고, 분리된 민족으로 인간을 구분하는 것은 단지 의심과 적대를 낳을 뿐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막스 주의자는 계급연대의 끈이 민족의 연대보다 더 강하고, 더 진실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더욱이 막스는 공산당 선언에서 노동자 계급은 국가가 없다고 적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다양한 민족주의 중에서 반식민지 민족주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민족주의는 포괄적인 이데올로기로서 중요한 정치적 표현을 여러 가지 갖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