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세계 정치에 대한 이해로서 이상주의와 현실주의의 개념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다원주의와 막스주의 각각의 역사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그들은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다원주의 역사와 특징
국제정치학에서 다원주의적 관점은 1960, 70년대에 특히 미국에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이 관점은 자유주의적 이념과 가치의 근본 원리 위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전통적 의미에서 다원주의는 수많은 단체와 집단 사이에서 힘의 융합을 강조하는 사회 정치 이론입니다. 하나의 국제정치이론으로서 다원주의는 국가의 침투성을 부각하고, 현실주의 모델이 지니는 국가중심주의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공합니다. 국가 중심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한계는 존 버튼의 당구대 직유에 의해 설명되었습니다.
이는 현실주의가 국가를 당구공처럼 침투 불가능한 독립적 단위로 가정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 침투할 수 없는 독립적 단위는 외적 압력을 통해 서로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하여 국제적 무정부 체계에서 상호작용하는 주권 국가는 당구대 위를 움직이며 다른 공과 충돌하는 당구공의 집합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다원주의자에 따르면, 이 직유는 영향력이 점점 더 다국적 기업과 비정부 지구 같은 초국가적 행위자에 의해 행사되는 정도를 무시하고, 특히 경제적 문제와 관련하여 국가의 상호의존성을 인식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정치를 왜곡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적인 다원주의 관점은 혼합 행위자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 혼합 행위자 모델은 국민정부를 무시하지 않으면서, 국제정치가 훨씬 더 넓은 범위의 이해관계와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소한도로 현실주의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외적 주권에 대한 강조는 좀 더 온건한 자율성에 대한 관념으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관점은 그린피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코카콜라, 교황권과 같은 단체들을 프랑스나 아르헨티나 등과 똑같은 의미에서 국제적 행위자로 인정하자는 것입니다.
국제정치에 대한 다원주의적 접근이 지니는 중요한 함의 중 하나는 이 접근법이 패권정치나 국가의 강화와는 거리를 두고 움직인다는 것을 부각한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추상적 원칙에 대한 이상주의적 신념을 반영한다기보다는 권력이 폭넓게 배분될 때, 경쟁은 자기 파멸적이 되는 경향을 인정한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그 결과, 다원주의자는 점점 더 상호의존적 세계 속에서 협력과 통합을 향한 경향은 궁극적으로 저지될 수 없다는 점을 주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막스주의의 역사와 특징
막스주의는 관습적 패러다임과 대조되는 국제정치에 대한 하나의 첨예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막스주의 접근이 지니는 특징적 현상은 경제권력과 국제자본이 행하는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입니다. 막스는 국가적인 자본주의의 구조, 특히 부르주아 계급과 프롤레타리아 계급 사이의 적대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로 관심을 가졌지만, 국제주의 관점도 그의 저작에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 점은 계급적 충성이 민족적 구분을 초월한다는 막스의 인식에서 명백하게 드러납니다. 이 인식은 막스로 하여금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부분에서 '세계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라고 외치게 하였습니다.
달리 표현하면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적 이론은 권력이 세계를 독립국가로 구분하면서 수직적으로 조직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막스주의는 국제 계급에 기초하여 수평적 조직이론을 발전시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를 하나의 국제 체계로 보는 것의 함의는 레닌의 제국주의에서 비로소 완전하게 밝혀졌습니다. 레닌은 제국주의 팽창이 잉여자본의 수출을 통해 이윤 수준을 유지하고자 하는 국내 자본의 노력을 반영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주요한 자본의 힘을 서로 갈등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로 인한 전쟁은 아프리카, 아시아, 그 밖의 지역에서 식민지 지배를 위해 싸웠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제국주의 전쟁입니다.
하지만 현대 막스 주의자 혹은 신 막스 주의자는 고전적 막스-레닌주의 모델이 안고 있는 한계를 인정했습니다. 이는 20세기 초의 제국주의가 최고의 자본주의 단계가 아니라는 것을 뜻하며, 국가정책이 자본주의 이해관계의 단순한 반영이라는 가정이 지니는 협소함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사실 현대 막스 주의자 혹은 신 막스 주의자는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이들은 다양한 단체가 세계무대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다원주의적 믿음에 가깝게 접근하였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국제정치학에서의 다원주의와 막스주의 개념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정리해보자면, 다원주의는 혼합적 행위자 모델을 발전시키며, 점중하는 권력을 융합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막스주의는 세계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의 경제적 불평등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정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냉전으로 인한 정치의 변화 (0) | 2022.06.16 |
---|---|
국제정치 이론 학파 중 현실주의 정리 (0) | 2022.06.14 |
세계정치에 대한 이해와 이상주의 (0) | 2022.06.13 |
민족주의 이후 국민국가의 미래 (0) | 2022.06.12 |
반식민지 민족주의 뜻과 특징 (0) | 2022.06.11 |
댓글